안녕하세요? 신한투자증권 디지털PB센터입니다.
문의하신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어디가 안정적인지 구분하는 것보다 분석 목적에 맞는 지수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1. ‘다우존스 지수’, 시장의 전체적인 실적을 암시하는 지표
다우존스 지수는 100년이 넘는 기나긴 역사를 자랑합니다. 다우존스를 구성하는 종목은 단 30종이며, 미국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기업 30여곳으로 꾸려져 있습니다. 물론 미국 주식은 총 1만 종목이 넘는다는 점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이처럼 다우존스 지수가 30종목으로밖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로 인해 여러 전문가 및 학자들은 의구심을 품기도 합니다. 전문가·학자들이 보기에 단 30종목은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죠. 하지만 이 30종목은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종목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이 종목들은 여전히 매우 큰 레퍼런스적 가치를 지니며, 전반적인 시장 실적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나스닥 지수’, 전세계 기술주 동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나스닥 지수는 1971년도에 탄생했습니다. 나스닥 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들을 포함합니다. 나스닥 지수는 전세계 기술주 동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나스닥 지수는 바이오화학, 컴퓨터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반도체, 네트워크 통신 등 5천 종목이 넘는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술주 투자에 있어 중요한 참고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3. ‘S&P500 지수’, 미국 경제의 상승과 하락을 나타내는 지표
S&P500 지수는 미국에 상장된 상위 500개 기업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준 역할을 합니다. 기업평가기관인 스탠다드앤푸어스(S&P)는 시가총액 및 유동성을 기준으로 미국의 2대 주식시장의 각계각층을 살펴보며 미국 주식시장을 이끄는 500개 기업을 선정합니다. 다우존스 지수에 비해 S&P500 지수는 새로이 부상하는 기업들을 훨씬 더 많이 반영합니다. 이 덕분에 미국 주식 시장의 변화를 보다 잘 반영할 수도 있고, 리스크도 보다 잘 분산됩니다. 또한, S&P500 지수와 다우존스 지수가 활용하는 인덱스 가중치 산출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다우존스 지수는 주가 가중치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S&P500 지수는 시장가치 가중치 방식을 사용합니다. 후자가 기업 주식의 실제 가치를 보다 잘 반영해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미국 경제의 상승세와 하락세까지도 반영해줍니다.
모두가 명심해야 할 마지막 사항은, 선술한 3대 미국 주식 지수는 각자가 서로 다른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만일 투자자가 구글 주식을 매수했다고 한들 구글 주식의 상승·하락은 다우존스 지수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이유인즉 구글 주식은 다우지수 구성 종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 3대 지수 중 그 어떤 지수도 미국 주식시장의 일 단위 변화를 모두 담아낼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들은 투자를 할 때 단 하나의 미국 주식 지수만을 살펴보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3대 지수를 모두 포괄적으로 살펴보며 트레이딩 전략을 따르는 것이 투자자 입장에서 올바른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은 고객님의 성공투자를 응원합니다.